블로그 이미지
bluewaves
Bluewave의 아름다운 세상을 방문해 주신 파란가족님들께 행운과 사랑을 한아름드립니다 ^^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Tag

2012. 6. 23. 17:22 Bluewave사랑방

협죽도 [夾竹桃 ]

협죽도1

협죽도과의 상록관목으로 잎이 버드나무 모양이고 꽃은 얼핏 복숭아의 꽃과 같다는 의미에서 유도화(柳桃花)라고도 부른다.

햇볕이 잘 쬐고 습기가 많은 사질토에서 잘 자라지만 아무데서나 자라며 공해에 대해서도 매우 강하다. 높이 2m 이상 자라고 밑에서 가지가 총생하여 포기로 되며 수피는 검은 갈색이고 밋밋하다. 잎은 3개씩 돌려나고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가리가 밋밋하다. 질이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지만 가을까지 계속되고 홍색·백색·자홍색 및 황백색이 있고 겹꽃도 있다.

협죽도2

화관은 지름 3∼4cm로서 밑은 긴 통으로 되고 윗부분은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진다. 갈래조각은 꼬이면서 한쪽이 겹쳐진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 끝에 털이 달린 실 같은 부속체가 있다. 열매는 골돌(여러 개의 씨방으로 이루어 졌으며, 익으면 벌어짐)로서 길이는 10㎝ 가량 된다. 종자는 연한 갈색 털이 빽빽하게 난다.

만첩협죽도(for. plenum)


흰협죽도(for. leucanthum)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종자는 양 끝에길이 1cm 정도의 털이 있다. 가지·잎·꽃을 강심제이뇨제로 사용하나 독성분이 있다. 번식은 포기나누기꺾꽂이로 한다. 한국을 비롯하여 인도와 페르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꽃이 여러 겹인 것을 만첩협죽도(for. plenum), 꽃이 연한 황색인 것을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꽃이 백색인 것을 흰협죽도(for. leucanthum)라고 한다.

삽목을 위주로 번식시키며 삽목시 물에 꽂아 놓으면 발근율이 높다. 봄에 새싹이 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10∼15cm 길이로 잘라 삽목하거나 7∼8월 경 꽃피지 않는 가지를 잘라 삽목한다.

하지만 아름다운 장미에 가시가 있듯 협죽도에는올레안드린, 가톡시겐, 디키톡시겐 등 독성 이 있다.잎부터 가지 뿌리까지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에 수학여행 갔던 여학생이 나무젖가락이 없어 협죽도 나무가지로 김밥을 먹다가 의식을 잃고서는 죽은 사례가 있으며 'KBS위기탈출 남버원'이란 프로그램에서 협죽도의 유독성을 방송한 적이 있을 정도다(2011년 10월10일 305회) 미국에서는 보이스카웃 학생들이 이 나무로 핫도그를 만들어 먹다가 죽었다고 할 정도로 외국에서는 협죽도의 독성으로 사망한 사례가 아주 많았고, 우리나라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생했다고 한다.

사진

밀회"A Tryst" (1912) by John William Godward (1861-1922)

이 그림의 배경으로 유도화(柳桃花)와 양귀비(罌粟앵속)를 그려 넣은 것이 예사롭지 않다.

둘다 독성이 강한 식물이지 않는가. 그림속의 여인은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 응시하는 표정을 짓고잇는 가운데 강한 독성의 유도화와 양귀비가 함께 어울려 비밀리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분위기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줄기를 잘라보면 하얀액이 나오는데 피부의 상처에 바로 닿아 흡수가 되면 위험하다. 사약을 만든 재료로 사용하거나 화살촉에 바르는 독을 얻을 수 있는 나무이므로, 이 나무가 얼마나 무서운 독을 가진 나무인지 알수있다. 협죽도의 중독증사은 섭취 후7시간 후에 나타난다.

 

그 증상은 1) 구역질, 구토,복통, 설사 증상이 나타난다. 2) 식은땀과 현기증. 3) 심할 경우 부정맥이나 떨림, 의식불명의 증상이 동반된다. 결국 사망으로 이르게되는데 프랑스에서는 바베큐 꽃대용으로 사용하다 사망한 사레가 있으며 미국에서는보이스카웃 학생들이 이 나무로 핫도그를 만들어 먹다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이처럼 외국에서는 협죽도의 독성으로 사망한 사례가 아주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생했다고 한다. 만약 독성식물에 피부를 스치거나 먹었을 경우 곧바로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잊지말자.

 

 ケシ



ケシ



ケシ



ケシ

참고로 협죽도를 비롯 독성 관상식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디펜바키아 (Dieffenbachia) クリックすると新しいウィンドウで開きます

옥살산 칼슘이 들어있어서 잎을 먹으면 혀가 마비되고, 심한경우 기도를 막을수도 있다.

 

2. 디키탈리스(Digitalis)

심부전증 치료제로 쓰이기도 하는 이 식물은 꽃이 위험하다. 꽃을 먹을 경우 독성에 의해 신경마비가 올 수 있다

 

3. 란타나(lantana)

クリックすると新しいウィンドウで開きます

잎은 피부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열매를 먹을 경우에는 호흡장애로 사망에까지 이를수 있다.

4.꽃기린(Crown-of-thorns), 석화(Adenium obesum)

꽃기린은 마다가스카르 원산의 관상용 식물로 꽃이 솟아 오른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고하여 붙인 이름이다.

 

사막의 장미 석화로 불리우는 아데니움 오베슘 (Adenium obesum) 은 , 협죽도과의 다육성 식물이며 뿌리쪽이 기형적으로 굵어지는 모양이 특이하다.

이 두 식물은 줄기에 상처가 나면 나오는 액체가 독성을 함유하고 있다.

 

5.알로카시아(Alocasia)

천남성과, 다년초로 말레이지아 열대 아시아지역 원산이다 줄기는 굵고 짧으며 토란잎과 비슷한 긴 잎자루를 가진 심장꼴의 잎을 가진다.

잎을 먹으면 마비증상이 있을 수 있다

 

6. 잉글리시 아이비 (English ivy : Heder helix)

실내 장식용으로도 사용되고 공기정화 능력이 뛰어나고 주요공기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옻과 같이 스쳤을 때 알러지 반응이 올 수 있으며, 잎을 먹으면 호흡곤란이 올 수 있다.

 

7.함소화(含笑花: Michelia figo )

미소를 머금고 있다는 뜻을 가진 함소화(含笑花)는 귀신을 부르는 나무라는 뜻의 초령목(招靈木)이라 한다.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에까지 다다를수 있다.

 

8. 협죽도(夾竹桃 : Oleander)

협죽도과에 속하는 넓은잎 늘푸른떨기나무로 인도 원산이며, 한국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한다. 울타리 정원수로 많이 쓰이는 식물인데, 식물 전체에 독을 함유하고 있어서, 구토증상, 설사 등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수도 있다.

 

양귀비(罌粟 : Opium-poppy)

약담배, 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로 높이가 50∼150cm이다. 당나라 현종의 황후이며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에 비길 만큼 꽃이 아름답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중독 중상은 오심(), 구토(), 현기(), 혼몽()과 더불어 처음에는 안면홍조(), 발한(), 맥박긴장()을 초래하며, 때로는 피부의 가려움증, 위 및 방광의 경련, 변비, 하혈() 등을 일으킨다. 시간이 지나면 치아노제(cyanosis)를 일으켜 호흡이 느려지며 더러 체인-스토크스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형을 보이며, 결국에는 호흡마비를 일으켜 사망한다.


 

posted by bluew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