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눈 [winter bud]
겨울눈 [winter bud]은생장하지 않고 쉬고 있는 눈으로 온대에서는 잎자루와 가지만 나는 사이에생긴 겨드랑눈이 변하여 늦여름부터 겨울까지 겨울눈의 상태로 있다.
잎은 변형한 쌀껍질 또는 비늘조각 등이 덮고 있다. 또는 끈적질이나 털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열대에서는 건기에 눈이 휴면다. 봄이 되어 꽃이나 잎을 만드는 식물의 싹을 말한다.
월동아(越冬芽)라고도 한다. 봄이 되면 새싹이 나온다.
비늘조각이나 잎몸의 일부밖에 만들어지지 않는 소형의 잎으로 되며,
전체는 납물질 ·수지 ·밀생한 털 등으로 보호된다.
목련의 겨울눈
겨울눈(winter bud, 冬芽)
수목이나 다년생 초본이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겨울을 지내기 위해 만드는 눈.
정아(頂芽) : 끝눈, 꼭지눈
측아(側芽) : 곁눈
액아(腋芽) : 겨드랑눈
부아(副芽) : 덧눈
엽아(葉芽) : 잎눈,잎이 될 겨울눈, 대체적으로 꽃눈보다 가늘고 길다
화아(花芽) : 꽃눈,꽃이 될 겨울눈, 대체적으로 잎눈보다 짧고통통하다
혼아(混芽) : 혼합눈, 섞임눈, 꽃, 잎이 함께 있음
은아(隱芽) : 숨은눈, 표피 속에 숨어 있는 눈
잠아(潛芽) : 숨은눈, 표피 조직 안에 잠재되어 있는 눈
하아(夏芽) : 여름눈 / 동아(冬芽) : 겨울눈
정아(定芽) / 부정아(不定芽)
아린(芽鱗, bud scale) : 겨울눈을 싸고 있으면서 꽃이나 잎이 될 연한 부분을 보호
하고 있는비늘 조각
엽흔(葉痕, leaf scar) : 잎이 가지에서 떨어진 후 그 자리에 생긴 자국
관속흔(管束痕, bundle scar) : 엽흔 안의 물과 양분을 가지에서 잎으로 이동했던 흔적
저항아(抵抗芽) : 춥거나 건조한 곳에서도 견디는 식물의 눈(bud, 芽)이다.
흔히 겨울눈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꽃이나 잎을 만드는 식물의 싹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열악한 환경을 이겨내고 살아남아서 적당한 환경이되었을 때
성장이 일어나는 식물의 부위를 뜻한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성 정력식품 모음 (0) | 2012.03.01 |
---|---|
꿀, 겨울엔 니가 최고다! (0) | 2012.02.26 |
진간장 양조간장 조선간장 산분해간장 발효간장의 차이 (0) | 2012.02.24 |
생활의 지혜모음 (0) | 2012.02.20 |
남해안의 야생화 (0) | 201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