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3. 12. 10:09
세상사이야기
한국 온 미 핵추진 항모 ‘존 스테니스’ 타 보니
2009년 03월 12일 (목) 02:09 중앙일보
[중앙일보 이영종.송봉근] ‘위~잉’ 하는 요란한 기계음과 함께 기자가 서 있던 농구코트 면적 정도의 하부 갑판 일부가 갑자기 솟구쳐 올랐다. 4층 건물과 맞먹는 높이를 고속으로 상승해 멈춘 곳은 항공모함의 상부 갑판. 아스팔트 광장같이 펼쳐진 갑판 곳곳에는 F/A-18E/F 수퍼호닛 전투기와 MH-60S 시호크 헬기 등 항공기 20여 대가 촘촘히 도열해 있었다. 키 리졸브 합동 군사연습 참석차 11일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 모습을 드러낸 미 핵 추진 항모 존 스테니스(CVN 74)는 마치 거대한 강철 요새를 보는 듯했다. 1995년 취역한 스테니스는 갑판 길이 332m에 폭 78m, 높이는 24층 건물에 해당하는 74m다. 9만7000t에 이르는 육중한 몸집의 이 함정에는 철강 6만t이 쓰였다. 그렇지만 20년간 작동 가능한 2개의 원자로에서 나오는 수십만 마력의 추진 동력으로 30노트(시속 56㎞)의 최고속력을 낼 수 있다. 축구장 면적 3배에 해당하는 1만8200㎡의 갑판 바닥에는 긴 레일 모양의 캐터펄트라는 장비가 설치돼 있다. 활주로가 짧은 항모의 특성상 고압증기를 이용해 항공기를 새총으로 쏘듯이 날려 올려주는 장치다. 채드 드럭(39) 소위는 “캐터펄트 4개의 도움으로 19초마다 한 대의 전투기를 이륙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테니스는 70여 대의 함재기를 싣고 다닌다. 격납고에 해당하는 하부 갑판에 차곡차곡 들어차 있던 항공기는 4대의 항공기 엘리베이터에 실려 위로 올라간 뒤 출격한다. 착륙 때는 활주로에 설치된 로프에 전투기에서 갈고리를 내뻗어 순식간에 멈추도록 하는 방식을 쓴다. 키 리졸브 연습 때마다 참가하는 스테니스 등 미 핵추진 항모는 유사시 동해 또는 서해에서 함재기를 띄워 북한의 군사시설과 전투력을 파괴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남침으로 전시상황이 되면 미 항모가 최대 5척까지 한반도에 증강된다”고 전했다. 북한의 도발 위협 등으로 긴장감이 감도는 상황에서 스테니스의 출현이 주목받자 관계자들은 말을 아꼈다. 스테니스가 소속된 제3항모강습단장 마크 빈스 제독은 “우리가 한국에 온 것은 몇 달 전부터 예정돼 있던 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스테니스가 자리 잡은 작전사령부기지 바로 옆에 정박한 미 7함대 기함(Flag Ship)인 ‘블루리지’함은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한 한·미 연합 군사연습의 긴장감을 그대로 보여줬다. 존 버드 7함대사령관이 타고 있는 이 지휘함 갑판에는 헬기가 부산하게 오갔다. 이곳의 한·미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와 경기도 오산의 공군구성군사령부 등이 혼연일체가 돼 20일까지 키 리졸브 합동 군사연습을 펼친다. 스테니스 선상에서=이영종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이영종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ja0813/ [☞ 중앙일보 구독신청 http://subscribe.joins.com/] [☞ 중앙일보 기사 구매 http://conbox.joins.com/] [☞ 중앙일보 모바일 포털 http://jmb.joins.com/joom/high_j.asp] [ⓒ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공 : 중앙일보 | 중앙일보 전체보기
'세상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 ‘광명성 2호’ 일본 상공 통과 … 2차 추진체 3600㎞ 날아가 (0) | 2009.03.14 |
---|---|
<北, 사거리 배증한 로켓 좌표 제시> (0) | 2009.03.13 |
아시아 야구의 길을 묻다 (0) | 2009.03.13 |
[私교육, 死교육] <5> 등골 휘는 학부모들 (0) | 2009.03.13 |
NY타임스 `모텔이 집이 된 美 실업자들` (0) | 200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