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bluewaves
Bluewave의 아름다운 세상을 방문해 주신 파란가족님들께 행운과 사랑을 한아름드립니다 ^^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2012. 5. 1. 00:43 역사와 유물

우리건축의 지붕양식

우리나라 지붕의 재료는 짚, 나무껍질, 기와등을 사용하였고 특히, 상징적인 여러
무늬를 기와에 사용하였다.
또한 지붕위에는 취두, 용두, 잡상등을 두었고 귀면등을 장식하여
큰 건물의 지붕을 더욱 장중하게 하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등을
사용하였다.




맞배지붕

가장 간단한 형식으로 주심포 양식에 많이쓰이며 처마 양끝이 조금씩 올라가고 측면은 대부분 노출되는 구조미를 이룬다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부석사 조사당, 개심사 대웅전,
선운사 대웅전등이 있다.

봉정사 극락전










봉정사 극락전의 우측면
맛배지붕의 측면은 이와같이 박공으로 마무리 되며 비가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풍판을 대기도 한다

수덕사 대웅전




수덕사 대웅전의 고창한 단청

무위사 극락전




개심사 대웅전





우진각지붕

지붕면이 전후좌우로 물매를 갖게 된 지붕양식
으로 지붕면 높이가 팔작지붕 보다 높게 되어 있
남대문(숭례문) 해인사 장경판고 등이 있다.

남대문



남대문의 지붕 모양을 보면 아래 팔작 자붕과 달리 내림마루 추녀마루
구분없이 용마루에서 쭉 내려 왔음을 알수있다


해인사 대장경판고의 지붕모양



팔작지붕


가장 아름다운 구성미를 지닌 지붕으로 곡면이 특이하여 가장 많이 나타난다
부석사 무량수전, 통도사 불이문등이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장엄한 모습
드물게 주심포에 팔작지붕을 하였다
다포양식에서도 활주를 받친게 드러 있지만 무량수전의 경우
활주의 역할이 꼭 팔요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사모지붕


현존하는 사찰 건축에서는 보기 어려운 구조로 불국사 관음전, 창덕궁 연경당의 농수전 등이 있
다.

연경당 농수정



육모지붕

평면이 육각으로 된 지붕으로 육모정이 다 육모지붕이며
경복궁 향원정이 있다.



팔모지붕

평면이 팔각으로 된 지붕으로 팔각정이 모두 팔모지붕이다




J자형 지붕

통도사 대웅전


통도사 대웅전
정면과 측면의 구분 없이 동,서,남 모든 방향에서 봐도 정면처럼 보인다. 이처럼 독특한 구조는 동쪽에 출입구를 두고 서쪽으로 이어진 하.중.상로전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대웅전의 중심성을 유지하기 위한 의도라고 추정된다

십자형 지붕

전주 송광사 범종루, 비원부용정


부용정
亞자형 다각형으로 十자보다 T자형으로 볼수있다


posted by bluew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