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5. 1. 00:43
역사와 유물
우리건축의 지붕양식
우리나라 지붕의 재료는 짚, 나무껍질, 기와등을 사용하였고 특히, 상징적인 여러 무늬를 기와에 사용하였다. 또한 지붕위에는 취두, 용두, 잡상등을 두었고 귀면등을 장식하여 큰 건물의 지붕을 더욱 장중하게 하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등을 사용하였다. 맞배지붕 가장 간단한 형식으로 주심포 양식에 많이쓰이며 처마 양끝이 조금씩 올라가고 측면은 대부분 노출되는 구조미를 이룬다 봉정사 극락전
지붕면이 전후좌우로 물매를 갖게 된 지붕양식
부석사 무량수전, 통도사 불이문등이 있다. ![]() 부석사 무량수전의 장엄한 모습 드물게 주심포에 팔작지붕을 하였다 다포양식에서도 활주를 받친게 드러 있지만 무량수전의 경우 활주의 역할이 꼭 팔요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평면이 육각으로 된 지붕으로 육모정이 다 육모지붕이며
평면이 팔각으로 된 지붕으로 팔각정이 모두 팔모지붕이다
통도사 대웅전 통도사 대웅전 전주 송광사 범종루, 비원부용정 |
부용정
亞자형 다각형으로 十자보다 T자형으로 볼수있다
'역사와 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장군(安重根將軍)의 유묵(遺墨) (1) | 2012.05.06 |
---|---|
한국의 문화: 젓가락을 통한 재미있는 소개 (0) | 2012.05.04 |
불교건축양식, 지붕양식 (0) | 2012.05.01 |
풍납토성의 감춰진 진실 (0) | 2012.04.26 |
지붕서 기와 던지며 왜군에 맞선 아낙네 (0) | 2012.04.09 |